MY MENU

집필 요령 안내_다문화사회연구

1. 원고 구성의 원칙

  1. (1) 원고는 「한글」 프로그램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2. (2) 원고 내용은 하단의 원고 구성에 따라 작성되어야 하며 저자의 익명성 유지를 위해 저자 성명은 표지에만 기재하고, 본문이나 미주에는 표시하지 않는다.

2. 원고의 구성 및 체계

  1. (1) 원고는 표지, 국문 및 영문요약, 본문, 미주, 참고문헌, 표 및 그림, 부록(필요시) 등으로 구성된다.
  2. (2) 원고 분량은 원고 구성 전체를 포함해 200자 원고지 140매(A4용지 20매) 내외로 하되 최대 원고지 180매(A4용지 25매)를 초과할 수 없다. 초과시 초과분에 대한 인쇄 비용은 저자가 별도 비용으로 부담한다(기준: 원고지 10매당 2만원). 편집시 용지 설정은 A4를 기준으로 여백 좌우 30, 상 20, 하 15, 머리말ㆍ꼬리말 15로 설정한다.
  3. (3) 원고의 표지에는 논문 제목, 저자명, 저자정보(저자구분, 소속기관 및 직위), 사사표기 여부를 기재하여야 하며, 표지를 제외한 모든 면에는 1부터 연속적 숫자를 부여하여 쪽번호를 붙인다.
  4. (4) 국문요약은 제목을 포함하여 200자 원고지 3매를 넘지 못하며(15줄 미만) 영문요약은 국문요약과 동일한 내용으로 작성한다. 국문 및 영문요약 하단에 반드시 ʻ주제어(keyword)ʼ 색인을 표기해야 하며 주제어 수는 3-5개로 한다.
  5. (5) 편집시 환경 설정은 다음과 같다.
    1. 가. 본문은 표지와 별도로 새로운 면에서 제목을 쓴 후 시작한다. 논문 제목의 글자는 신명조 진하게 15point로 하고, 문단은 가운데 정렬로 한다.
    2. 나. 본문의 글자는 신명조 10point, 장평 100%, 자간 –10%로 하고 줄간격은 160%로 설정한다. 요약, 인용문, 표와 그림의 제목, 참고문헌 등의 글자 크기는 9point로 작성한다. 미주의 경우 글자 크기는 8.5point, 줄간격은 130%로 설정한다.
    3. 다. 본문의 장, 절, 항의 번호는 다음의 예에 따라 순차적으로 매긴다.
      1. 1단계 - Ⅰ. Ⅱ. Ⅲ. ···
      2. 2단계 – 1. 2. 3. ···
      3. 3단계 – (1) (2) (3) ···
      4. 4단계 – 1) 2) 3) ···

3. 원고 작성과 관련된 사항

  1. (1) 논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돈 가능성이 있는 경우 첫 번에 한하여 한글 원문 혹은 역어를 적고 괄호 안에 한자 혹은 외래어를 부기한다.
  2. (2) 주 작성은 본문 주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미주는 본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나 관련된 논의의 소개가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며 가능한 한 짧게 한다.
  3. (3)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인용부호(“ ”)를 통해 제시하고, 3줄 이상인 경우 본문에서 따로 떼어 제시한다. 이 경우 인용 부분 아래, 위를 한 줄씩 띄우고, 글자 크기는 9point, 왼쪽여백 20mm로 설정한다.
  4. (4) 표와 그림은 <표 1>, [그림 1]과 같은 형식으로 일련번호를 붙이고 제목은 표와 그림 상단에 표기한다. 출처는 표와 그림 하단에 “출처: ”라고 쓴 후 제시한다.
  5. (5) 모든 통계기호는 이탤릭체로 표기하며 자세한 사항은 APA 논문작성법에 따른다.
  6. (6) 본문이나 미주에서 인용표기는 괄호를 이용해 약식으로 언급하고 완전한 문헌 정보는 논문 끝의 <참고문헌>에 포함시킨다. 인용표기의 주요내용은 하단의 <인용표기 요령>을 참조한다.
  7. (7) 참고문헌은 본문의 제일 끝에 세 줄을 띄우고 <참고문헌> 제목을 붙인 후 하단의 <참고문헌 작성요령>을 참고하여 작성한다.

4. 인용표기 요령

  1. (1) 인용표기는 본문 및 미주에서 괄호 안에 저자의 성명, 출판연도, 필요한 경우 페이지 수를 적어서 표시한다. 같은 문헌을 재언급할 경우에도 같은 요령으로 작성한다.
  2. (2) 구체적인 예
    1. 1) 저자명이 글(본문과 미주)에 나와 있는 경우: 한국 저자의 경우 성명, 외국 저자의 경우 이름 전체를 쓰고 괄호 안에 출판연도와 페이지 수를 표기한다.
      • 예: ...홍길동(2000, 5)... 혹은 ...피터 에반스(Peter Evans, 1985, 7-9)...
    2. 2) 저자명이 글에 나와 있지 않은 경우: 괄호 안에 한국 저자의 경우 성명, 외국 저자의 경우 성을 쓰고 출판연도와 페이지 수를 표기한다.
      • 예: ...(김숙명, 1992, 54)... 혹은 ...(Kymlicka, 2000, 111)...
    3. 3) 출처의 특정 부분 표기: 페이지 수를 제외한 출처의 특정 부분 표기가 필요한 경우 약자를 쓴다.
      • 예: ...(이문화, 1979, chap. 2)...
    4. 4) 저자가 2인인 경우: 저자명을 모두 기입한다. 한국 저자의 경우 저자명 사이에 가운데 점을, 외국 저자의 경우 ‘&’로 저자 사이를 구분한다.
      • 예: ...(김여성ㆍ이남성, 2017, 10)... (Edwards & Wajcman, 2005, 142-144)...
    5. 5)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 7인 미만의 저자의 경우 첫 번째 인용표기 시에는 저자명을 모두 기입한다. 두 번째 인용표기 부터는 저자 1인의 성명 다음에 ‘외’ 또는 ‘et al.’를 붙인다. 7인 이상 저자의 경우 첫 번째 인용표기 부터 저자 1인의 성명 다음에 ‘외’ 또는 ‘et al.’을 붙여 표기한다.
      • 예: 첫 번째 인용: ...(신명ㆍ김숙명ㆍ이문화, 1991, 35-36)... 두 번째 인용: ...(신명 외, 1991, 7)...
        첫 번째 인용: ...(CampbellㆍChoeㆍWu, 1960, 27)... 두 번째 인용: ...(Campbell et al., 1960, 43)...
    6. 6) 동시에 여러 문헌을 언급하는 경우: 괄호 내에 세미콜론(;)으로 나누어 언급한다. 이때 순서는 한글(가나다), 구미어(알파벳), 기타 언어 순에 따른다.
      • 예: ...(정철, 2015, 31; 홍길동, 2000, 5; Winston, 1990, 56; 上野千鶴子, 2012)...
    7. 7) 동일저자의 문헌이 같은 해에 두 권 이상일 경우: 글에서 언급된 순서에 따라 발행연도 뒤에 a, b, c를 첨가하여 구분한다.
      • 예: ...(강남식, 1999a, 5-6)... (강남식, 1999b, 8-9)... (강남식, 1999a, 5-6; 1999b, 8-9)
    8. 8) 신문, 주간지, 월간지 등의 무기명 기사: 발행지명, 발행 年/月/日 (월간지의 경우 발행 年/月), 면수를 괄호 안에 표기한다.
      • 예: ...(한겨레, 1998/12/01, 5)... 혹은 ...(월간조선, 1999/12, 283)...
    9. 9) 간행예정, 미간행 원고: 간행예정은 ʻ未刊ʼ이나 ʻforthcomingʼ을 사용하며 미간행 원고는 집필연도를 표시한다. 연도가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 그 자리에 ʻn.d.ʼ을 쓴다.
      • 예: ....홍길동(미간, 83)...; ...존 워커(Jonh Walker, forthcoming, 100)...; ...우연희(n.d., 74)...
    10. 10) 기관 저자: 식별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한다.
      • 예: ...(한국대학교 다문화연구원, 2004, 213)...
    11. 11) 번역서: 원문헌의 출판연도와 번역서의 출판연도를 사선으로 나누어 모두 언급하고 페이지 수를 표시한다.
      • 예: ...(Ruderman & Ohlott, 2000/2003, 109)...
    12. 12) 재인용: 원문헌의 저자와 출판연도 뒤에 콜론(:) 표시한 후 재인용한 문헌의 저자와 연도, 페이지 수를 적고 재인용했음을 밝힌다. 이때 원문헌은 참고문헌에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 예) (Martin, 1993: 김양희, 2006, 109에서 재인용)

5. 참고문헌 작성 요령

  1. (1) 참고문헌은 본문과 미주에서 언급된 모든 문헌의 자세한 문헌 정보를 논문 끝에 <참고문헌>에서 밝힌다. 본문과 미주에서 언급되지 않은 문헌은 포함시키지 않는다.
  2. (2) 각 문헌은 한글 문헌, 로마자로 표기되는 구미어 문헌, 기타 언어(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그리스어, 아랍어 등) 문헌 순으로 배치한다. 한글 저자명은 가나다순으로, 로마자 저자명은 알파벳순으로, 기타 언어 저자명은 해당 언어 표기법에 따라 배열한다.
  3. (3) 로마자 저자명은 저자의 성을 앞에 제시하고 저자의 이름은 쉼표 뒤에 한 칸 띄우고 이니셜로 표기한다. 이때 동양권 저자의 경우에는 이름을 모두 표기한다.
    • 예: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397-422.
  4. (4) 각각의 문헌은 다음의 구체적인 예에서 제시된 형식에 따라 작성한다.
    1. 1) 논문, 기사 등은 따옴표(ʻʻ ʼʼ)로, 저서는 구미어 문헌인 경우는 이탤릭체로, 한글ㆍ일본ㆍ중국어ㆍ한문인 경우는 이중꺽쇠로 표시한다.
    2. 2) 페이지는 숫자만 표기한다.
      1. 가. 저서
        1. ① 저자가 1인인 경우
          • 예: 김순희 (2000). 『변화하는 국제사회 : 다문화사회의 명과 암』. 서울: 창조사.
            Panebianco, A. (1998). Political Party: Organization and Pow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② 다수 저자인 경우: 인용표기와는 달리 문헌에 제시된 저자명을 모두 기입한다. 다만 7인 이상 공동저자의 문헌의 경우에는 6인까지만 기입하고 그 뒤에 ‘외’ 또는 ‘et al.’을 붙인다. 이때 구미어 문헌을 제외한 다른 문헌의 경우 저자 사이는 가운데 점으로 구분한다.
          • 예: 홍길동ㆍ김철수ㆍ이정호 (1993). 『조선시대의 문화』. 서울: 한국문화연구원.
            권보드래ㆍ심진경ㆍ이혜령ㆍ김미정ㆍ김은하ㆍ류진희 외 (2018).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페미니스트 시각으로 읽는 한국 현대문학사』. 서울: 민음사.
        3. ③ 다수 저자 구미어 문헌인 경우의 저자 구분: 2인 저자일 경우 저자 구분은 ‘&’를 붙이고, 3인 이상 저자일 경우 저자 사이는 쉼표로 구분하며 마지막 저자명 앞에만 쉼표 후 한 칸 띄우고 ‘&’를 붙인다.
          • 예: Archer, J. & Lloyed, B. (1985). Sex and gende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Berson, B. R., Lazarsfeld, P. F., & Macpherson, W. (1954). Voting of Americ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나. 학술지, 월간지, 계간지 등의 논문이나 기명 기사
        • 예: 카노이, 마틴 (1990). “19세기 유럽에서의 공산주의와 시민운동”. 『유럽연구』 5(1), 75-101.
          이상호 (1990). “공자의 생애와 인의 사상”. 『계간 춘추』 (가을), 90-98.
          안민호ㆍ고혜승 (2006). “커뮤니케이션 연구들의 일반적 특징과 언급된 주요 이론들에 관한 메타분석ʼʼ. 『사회·교육과학연구』 9(1), 175-180.
          Berto, A. E. (1991). “Political Opposition and Democracy”. Latin American Perspectives, 18(1), (Winter), 32-65.
      3. 다. 학회에서 발표한 논문(proceeding)의 경우
        • 예: 나혜심 (2017). “한인여성의 디아스포라, 그 주인공으로서의 한인여성들”. 아시아여성연구원 주최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1-31. (11월 1일).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Zachmann, K. (2016). “Carving out a place for themselves? Women and the semantics of gender in engineering in Germany throughout the 20th Century”. 2016 RIAW International Conference, 33-46. (November 3). Seoul, Korea.
      4. 라. 학위 논문
        • 예: 김철수 (1995). “변화하는 세계정치와 문화”. 세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Easton, J. (1988). “Culture in India”. Ph.D. Dissertation, Royal University.
      5. 마. 편저서
        • 예: 이영희 (2000). “한국사회에서 여성인권”. 여성한국사회연구소 편. 『한국사회의 여성과 통일』, 111-113. 서울: 남북통일출판사.
          Zarembka, J. M. (2002). “America’s dirty work: migrant maids and modern-day slavery”. In Ehrenreich, B. & Hochschild, A. R. (Eds). Global Woman: Nannies, Maids, and Sew Workers in the New Economy, 142-153. New York: Metropolitan Books.
      6. 바. 번역서
        원서의 문헌정보 뒤에 번역서의 문헌정보를 넣는다.
        • 예: Relph, E. (1984). Place and Placelessness. 김덕현ㆍ김현주ㆍ심승희 역 (2005). 『장소와 장소상실』. 서울: 논형.
      7. 사. 보고서
        보고서의 경우 보고서 번호를 괄호로 묶어 제시하고 출판정보가 있다면 표기한다.
        • 예) 신선미ㆍ김영옥ㆍ김종숙ㆍ안준기 (2017). 『청년여성의 직업훈련 참여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연구보고서-14).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 아. 고전 문헌
        고전 문헌의 경우 출전(예: 동국여지승람, 세종실록)만을 표기한다.
      9. 자. 일간지, 주간지의 기명 기사와 칼럼
        • 예: 이수호 (2000). “이라크 파병의 문제”. 『군사일보』 (5월 10일), 5.
          Carter, J. (2002). “Two Dilemma of Democracy”. Far Eastern Political Review (April 22), 23.
      10. 차. 인터넷 자료 저자, 제작 연도, 주제명, 웹주소(검색 일자)의 순으로 한다.
        • 예: 김영희 (2000). “통일이후 한국의 여성정책”.
          http://taejon.ac.kr/kk0101.html (검색일: 2001.01.25.).
  5. (5) 이상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사항은 아시아여성연구원으로 문의한다.